주제
통계청의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의 저위 추계 시나리오(2019.3.28.)에 따르면 2019년 출생아수는 28만 2천명, 사망자수는 32만 7천명으로 사망자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 인구 자연감소가 예상된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는 사회의 활력을 저하시킬 뿐 만 아니라 총부양비 상승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예상된다. 국내 출산정책의 모범사례를 지방자치단체에서 찾아보시고 학습자께서 시장이라면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 어떠한 정책을 시행할지 자유롭게 서술하십시오.
서론
인구의 규모는 출생과 사망 이동에 의해서 변화한다. 그 사회의 경제,문화 사회 특성에 영향을 받아 인구규모나 구조가 영향을 받는다. 또한그 결과로 다시 사회 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출산율은 인구문제와 관련한 국가 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략>
본론
■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 정책 실태
저출산이 국가적 의제로 떠오르며 출산율 제고를 위한 대책을 논의하기 시작한 지도 십여 년이 흘렀다. 정부는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2006년부터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통해 국가 차원의 저출산 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으나, 2018년 한국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0.97명의 합계출산율을 기록해아이를 낳지 않는 국가의 지위를 굳히고 있다.
<중략>